왜 메타버스인가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가리킨다. 우리는 그동안 메타버스를 게임이나 영화에서 많이 접해왔다. 하지만 메타버스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메타버스 세계에서의 나는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한 것들을 경험함으로써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현실의 나는 집 안에 있지만 메타버스 세계에서는 해외 유명인과 만날 수 있고, 관광지나 미술관 등을 가볼 수 있으며, 평소 해보지 못했던 색다른 경험을 해보는 것이 그러하다. 때로는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상대의 입장이 되어 활동하면서 서로를 이해하는 계기도 된다. 이처럼 메타버스는 이제 가상현실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하여, 현실과 같은 사회문화적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현실세계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수도 개량 공사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 메타버스에서 최적의 공사 과정을 실험한 뒤 현실세계에 반영하면 된다. 메타버스를 이용하면 긴 공사시간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측면에서도 좋다. 즉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현실세계의 문제를 현실과 동일하게 구축한 메타버스에서 실행해봄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것. 그리고 우리는 이렇게 구축된 도시환경시스템을 스마트 시티라고 말한다.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데이터의 진화로
메타버스 기반 다져
현실세계를 메타버스에 동일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실세계의 디지털 데이터가 필요하다. 여기서 말하는 디지털 데이터는 ‘0’과 ‘1’로 짜여진 배열로, 현실의 사물을 인터넷상에서 정보화시킨 것이다. 이 디지털 데이터의 활용범위와 방법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에서 차이를 보인다.
코로나19 이전에 우리가 경험한 디지털 데이터는 배달서비스, 배송서비스, 택시콜서비스 등이다. 주로 소비자가 온라인 플랫폼에서 구매를 하면, 판매자는 소비자의 정보와 구매 패턴을 확인하여 지역, 성별, 연령마다 인기 있는 상품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의 정보와 구매 패턴이 디지털 데이터이고,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사업에 활용하는 것은 디지털 데이터의 활용이 된다.
디지털 데이터의 활용은 코로나19로 인해 전환점을 맞는다. 단순히 데이터를 이용한 기술이 아니라 2개 이상의 데이터 기술을 융합하여 발전된 플랫폼을 구축한 것. 이러한 데이터의 결합을 ‘디지털 트윈기술’이라고 하며, 그 대표적인 예가 코로나19 역학시스템이다.
코로나19 역학시스템은 3개의 디지털 기술이 결합되어 있다. 정보통신기업이 갖고 있는 ‘위치정보수집 데이터’, 은행·금융권 기업이 보유한 ‘카드 결제내역 데이터’, 범죄예방을 위해 설치한 ‘CCTV 데이터’가 그것이다. 즉 해당 시스템은 새로운 기술 개발이 아니라 기존의 데이터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활용이 진화되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메타버스 세계로
출발하기 위한 안성시의 도약
안성시는 메타버스가 어렵게 느껴지거나 메타버스에 관심 있는 시민들을 위해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두원공과대학교와 안성시가 함께 마련한 ‘메타버스 세계 체험하기’ 무료교육에서는 메타버스의 대표적인 프로그램 제페토앱과 이프랜드 활용 방법 강좌를 진행했다. 안성시에 주소를 둔 시민과 안성시 소재 초·중·고·대 재학생 모두가 참여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세계 체험하기’ 3차 교육은 9월에 진행될 예정이다. 메타버스에 관심이 있는 안성시민은 3차 교육에 참가하여 관심분야의 전문성을 키워가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