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이야기

옛 안성의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
안성1동

안성의 관공서와 각종 행정기관들이 모여 있는 안성1동은 예부터 안성의 중심지로 유동인구가 많았다.
그래서일까. 안성1동에는 유독 옛 안성의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문화유산과 명소가 많다.
100여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안성1동 주민들의 놀이터가 되어준 낙원역사공원과 60~70년대
그 시절을 떠올릴 수 있는 명륜동 벽화길, 안성1동 주민센터 등이 대표적이다.
그중에서도 주민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낙원역사공원에서 구본경 안성1동 주민자치위원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역사가 살아있는 ‘안성1동’
안성1동은 안성시의 관공서와 각종 행정기관들이 모여 있어 항상 인파로 북적였던 곳이다. 유동인구가 많아 상가와 식당은 물론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학교와 주택들이 생기면서 안성1동은 안성시의 중심지로 그 입지를 다져왔다. 구본경 위원장 역시 이러한 안성1동의 위치적 장점 덕분에 안성1동에서 평생을 살아왔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안성1동에는 안성의 역사가 느껴지는 건물부터 문화재가 가득하다. 가장 먼저 안성1동 주민들의 행정업무를 지원하고 있는 안성1동 주민센터다. 안성1동 주민센터는 국가등록문화재 제709호로 등록되었다. 일제강점기 시기인 1928년 안성군청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어진 건물이라고 한다. 주민센터 바로 앞에는 안성의 문화재가 모여 있는 ‘낙원역사공원’이 위치한다. 낙원역사공원은 100여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안성1동 주민들에게 휴식처이자 문화공간으로 이용됐다. 안성시의 행사나 축제들이 주로 이곳 낙원역사공원에서 진행됐다. 낙원역사공원이 안성시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장소임을 짐작할 수 있다. 지난해에는 낙원역사공원에서 ‘낙원문화축제’도 개최했다고.
“낙원문화축제는 안성시에 거주하는 예술인들을 위한 축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성시에 거주하는 예술인들은 공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좋고, 주민들은 코로나19로 그동안 즐기지 못했던 문화축제를 즐길 수 있어 일석이조였죠.”
낙원역사공원뿐만 아니라 안성의 옛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명륜동 벽화길은 구본경 위원장도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는 곳이라며 소개했다.
“명륜동 벽화길은 언제 가더라도 정감이 느껴지는 곳이에요. 저에게는 옛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어릴 때 놀던 모습들을 벽화로 그려놓았어요. 산책할 겸 명륜동 벽화길에 그려진 재밌는 벽화들을 구경하고 오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낙원역사공원에 모인 안성의 역사유적
안성시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곳, 낙원역사공원에는 어떤 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을까. 이곳에는 송공비, 삼층석탑, 공덕비, 선정비 등 다양한 문화재가 모여 있다. 문화재가 모여 있다고 해서 딱딱한 분위기의 공간이 아니라 누구나 편하게 방문해 구경도 하며 쉬어갈 수 있는 곳이다. 그중에서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는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한 공적을 기리기 위해 안성의 군관이 세웠다. 송공비 뒷면에는 토벌에 참가했던 장수와 군졸들의 인적사항이 새겨져있고, 우측면에는 군수 민제장을 비롯해 공을 세운 안성 관원의 명단이 있다.
또 삼층석탑은 높이 208cm로 고려시대 때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무심하게 쌓아올린 듯 보이지만 중심이 잘 잡혀 있다. 공덕비와 선정비는 관리들의 업적 등을기념하기 위해 만든 비석으로 이곳 낙원역사공원에만 10여 개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고려시대 석불좌상
송공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
공덕비와 선정비
안성1동에서 찾은 느림의 미학
구본경 안성1동 주민자치위원장
과거 안성시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았던 곳이었지만 점차 유동인구가 줄고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이곳 안성1동을 찾는 이가 많이 줄었다고. 하지만 이러한 변화를 구본경 위원장은 급하게 바꾸고 싶지는 않다고 한다.
“주민들 중에 다른 지역보다 안성이 변한 게 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세요. 저는 발전이 늦더라도 조금씩 변화하는 안성시가 됐으면 좋겠어요. 그런 의미에서 주민 모두가 안성 내 고향을 사랑하고 아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느림의 미학을 느낄 수 있는 안성1동으로 옛 역사와 문화를 찾으러 떠나보자.

안성1동의 명소를
영상으로 만나보고 싶다면
QR코드를 스캔해 보세요! ▶